오늘날 대부분의 웹사이트는 데스크탑뿐만 아니라 모바일, 태블릿 등 다양한 화면 크기에서 동작해야 합니다.
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이 바로 **“반응형 웹 디자인(Responsive Web Design)”**이며,
그 핵심 도구가 바로 **CSS의 미디어쿼리(Media Query)**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비전공자와 입문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반응형 웹의 개념과 미디어쿼리의 활용 방법을 예제와 함께 정리해드립니다.
✅ 반응형 웹이란?
사용자의 화면 크기에 따라 콘텐츠의 레이아웃이 유연하게 변경되는 웹 디자인 방식
즉, 하나의 HTML 코드로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적절한 화면을 보여주는 방식입니다.
데스크탑 | 1024px 이상 |
태블릿 | 약 768px~1023px |
스마트폰 | 767px 이하 |
반응형 웹은 하나의 웹사이트로 모든 환경에 대응할 수 있어 **관리 효율과 사용자 경험(UX)**을 동시에 개선합니다.
✅ CSS 미디어쿼리란?
**미디어쿼리(Media Query)**는 화면의 너비, 높이, 해상도, 방향 등 기기의 특성에 따라 CSS를 다르게 적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.
기본 문법:
예시:
- 화면의 너비가 768px 이하일 때, 배경색을 연한 파란색으로 적용
✅ 실습: 반응형 프로필 카드 만들기
아래는 간단한 프로필 카드에 미디어쿼리를 적용하여
모바일에서는 세로 정렬, 데스크탑에서는 가로 정렬로 보여지도록 만든 예제입니다.
✅ 코드 설명
- .card: 기본적으로 가로 정렬 (flex-direction: row)
- @media (max-width: 768px):
- 화면 너비가 768px 이하일 때 세로 정렬로 변경 (flex-direction: column)
- 이미지의 마진 변경으로 여백 조정
이처럼 단 한 줄의 미디어쿼리만으로도 모바일 사용자에게 적합한 레이아웃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.
✅ 자주 사용하는 미디어쿼리 예시 모음
상황에 따라 min-width 또는 max-width를 선택적으로 사용합니다.
✅ 실전 팁: 반응형 웹 구축 전략
- 📱 모바일 우선(Mobile First) 접근
→ 기본 스타일은 모바일 기준으로 작성하고, 미디어쿼리로 넓은 화면에 스타일을 추가 - 🧩 flex, grid 레이아웃과 함께 사용하면 효과적
→ 반응형 레이아웃 구현에 최적화된 CSS 레이아웃 기술과 함께 사용 - ⚠ 너비 단위는 % 또는 vw 등 상대 단위 사용 권장
→ 고정된 px보다 유연한 레이아웃 구현 가능
마무리: 반응형 웹은 현대 웹의 기본입니다
이제는 데스크탑만 고려하는 시대는 지났습니다.
모바일 사용자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시대에, 반응형 웹은 더 이상 옵션이 아니라 필수입니다.
미디어쿼리는 복잡한 자바스크립트 없이도
화면 크기만으로도 똑똑하게 스타일을 조정할 수 있는 매우 강력한 CSS 기능입니다.
오늘 실습한 예제를 시작으로,
자신만의 웹페이지에 반응형 레이아웃을 적용해보세요.
모든 기기에서 잘 보이는 웹페이지를 만드는 개발자의 첫 걸음을 떼게 될 것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