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TML로 웹페이지의 구조를 만들었다면, 이제는 그 구조에 멋을 입힐 차례입니다.
웹사이트의 첫인상을 좌우하는 요소는 바로 **디자인(스타일)**이며, 이 디자인을 구현하는 핵심 도구가 **CSS(Cascading Style Sheets)**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웹 스타일링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‘글꼴(Font)’, 색상(Color), 여백(Margin/Padding)’ 설정 방법을 CSS 코드 예제와 함께 쉽고 명확하게 설명합니다.
비전공자 및 입문자도 따라할 수 있는 실용적인 스타일링 팁으로 구성했습니다.
1. 글꼴(Font) 설정하기
웹사이트의 텍스트 분위기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가 바로 **글꼴(Font)**입니다.
✅ 기본 문법:
✅ 예시:
- 'Noto Sans KR': 첫 번째로 적용할 글꼴 (사용자 PC에 설치되어 있어야 함)
- Arial: 대체 글꼴
- sans-serif: 브라우저 기본 글꼴
Tip: 웹에서 자주 쓰이는 무료 글꼴은 Google Fonts에서 쉽게 가져올 수 있습니다.
✅ 글자 크기 및 굵기 설정:
- font-size: 글자 크기
- font-weight: normal, bold, 100~900 숫자값 가능
2. 색상(Color) 설정하기
색상은 웹페이지의 분위기를 좌우합니다.
CSS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색상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.
✅ 색상 지정 방법:
- color: 글자 색
- background-color: 배경 색
✅ 배경색 설정 예시:
Tip: 배경색은 body에 설정하면 전체 분위기를 손쉽게 바꿀 수 있습니다.
3. 여백(Margin & Padding) 조절하기
여백은 콘텐츠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가독성과 정돈된 레이아웃을 만듭니다.
✅ 개념 정리:
- margin: 요소 바깥쪽 여백 (요소와 요소 사이 거리)
- padding: 요소 안쪽 여백 (테두리와 내용 사이 거리)
✅ 기본 예시:
- margin: 위 아래 30px, 좌우 0px
- padding: 네 방향 모두 10px
✅ 방향별 여백 지정:
✅ 단축 속성 사용:
💡 실전 예제: 스타일 적용하기
마무리: 스타일링 기초를 익히면 디자인이 쉬워진다
CSS의 font, color, margin, padding 속성은 웹 디자인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필수 속성입니다.
이 네 가지 속성만 자유롭게 다룰 수 있어도, 대부분의 기본 레이아웃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.
특히 비전공자나 코딩 초보자는 기능보다 먼저 눈에 보이는 결과를 통해 배우는 것이 중요합니다.
오늘 배운 스타일 속성들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소개 페이지나 블로그 레이아웃을 꾸며보세요.
작은 변화들이 쌓이면, 자연스럽게 실력이 늘어납니다.